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신자유주의와 ‘작은 국가’의 종말을 넘어

by 통일둥이 posted May 13, 2021 Views 1766 Replies 0

 

신자유주의와 작은 국가의 종말을 넘어

등록 :2021-05-12 15:27수정 :2021-05-12 19:59

https://www.hani.co.kr/arti/opinion/because/994885.html?_fr=mt5#csidxe464cc47e0ba44fa9682904813c7f9d

<한겨레> [왜냐면] 강정구ㅣ전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바이든 집권 100일을 맞아 부유세가 범세계적으로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집권과 동시에 코로나 긴급구제를 위해 19천억달러를 투입했고, 낙후된 사회기반시설과 일자리를 위해 22500억달러, 교육과 가족계획 등으로 18천억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자본이득세 최고세율을 20%에서 39.6%, 법인세 최고세율을 21%에서 28%, 소득 상위 1% 대상의 소득세 최고세율을 37%에서 39.6%로 높인다고 한다.

 

이러한 국가 주도 부유세 강화, 사회기반시설 구축, 가족·교육·복지제도의 확충 등에 프랑스, 독일, 영국, 아르헨티나 등 대부분의 국가가 일정 부분 참여할 것으로 전망돼 세계적 추세가 될 것 같다. 이러한 증세와 큰 국가 추세(학술용어로는 시민사회에 대한 국가 자율성 확대’)는 지난 40년간의 전세계 경제기조인 신자유주의와 전적으로 배치된다.

 

신자유주의 또는 시장만능주의198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 출발해, 사회주의체제 붕괴, 워싱턴 합의, 세계화 등으로 전세계로 보편화·공고화되었다. 예찬론자들은 이를 역사의 종말이라고 환희하기도 했다.

 

감세, 작은 정부, 시장화, ()영화, 금융화, 개방화, 세계화, 무역·외환 자유화, 탈규제, 세계적 가치사슬 등의 정책과 전략으로 질주했다. 여기에 미국 주도의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이 돛을 달아줬다. 이 결과 빈부격차의 극단화, 국가 재정·역량·기능의 축소로 이어졌고, 건강의료·환경·기후변화에 대처할 공공재의 역부족으로 코로나에 직격탄을 맞았다. 자본주의 자체 또한 금융자본의 비대화, 경제의 금융화로 실물경제 위축과 생산력 퇴조, 산업공동화로 이어졌다.

 

경제의 금융화로 인한 2008년 금융위기에도 미국은 증세나 혁신을 꾀하지 못하고 땜질 처방에 그쳤다. 그러나 3천만명이 넘는 코로나 확진, 60만명에 가까운 사망으로 세계 최악의 참상이란 화급한 구조적 조건에서 기존의 신자유주의와 배치되는 전략을 구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코로나의 기약 없는 창궐은 기존 세상에 대한 근본 질문을 던지면서 서구 선진국유래의 가치관, 표준 등에 대한 환상을 깨뜨리고 있다. 왜 선진, 민주, 인권, 자유 등의 준범이고, 세계보건안전지수(·2019년 개발) 1, 2위였던 미국과 영국이 그 모양이고, 51위 중국이 가장 성공적이고, 9위 한국이 선방하는가?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등 서구 국가들은 전면 또는 지역 봉쇄를 몇 차례나 반복했지만 효과는 변변치 못했다. 처음에는 중국의 지역봉쇄나 한국의 거리두기에 전체주의적 발상이라면서 자기들의 개인자유 절대주의를 진정한 민주라며 조롱까지 했다. 같은 봉쇄인데 중국은 아주 성공적이었는데 서구는 왜 기대 수준 이하인가? 또 왜 한국의 거리두기는 어느 정도 성공할 수 있었나?

 

한국은 서구와 비슷한 사회경제적 구조이지만 공동체성이 훨씬 높다. 중국의 경우 공동체성도 높거니와 국가의 자율성, 통치력, 재정 여력이 탁월하다. 우한이나 허베이성을 봉쇄할 때 주민들의 생명권과 생존권(경제사회문화권인 유엔인권규약A)을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져주었다. 그래서 자영업자나 경제적 취약집단이 불법·편법으로 영업할 필요가 없는 삶의 조건이 구비된 것이다.

 

무릇 숱한 역사에서 전염병, 자연재해 등이 세상을 바꾸는 촉매제로 작동해왔다. 흑사병이 유럽 인구의 3분의 1 가까이 희생시켜 신 중심에서 사람 중심의 근대 세상으로 대전환을 촉진시킨 게 대표적이다.

 

코로나 창궐을 역사의 전환으로 보면서 BCAC(Before & After Coronavirus)로 나누고는 세상을 재규정하기도 한다. 이제 신자유주의와 작은 국가의 종말을 넘어서 기존 가치관, 사회경제체제, 세계질서, 규범, 도덕관 등에 대한 새판 짜기를 진지하게 모색할 때이고 이는 불가피한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9 고양이가 두발로 다닐수 있네요~ 밍밍ssong1 2019.06.06 1615
478 고통,고난,난관의 의미 및 극복방법 넌또다른나 2021.10.17 1510
477 공동부유를 위해 고수입 개인과 기업의 더 많은 사회보답을 통일둥이 2021.08.30 1534
476 공동부유를 확고히 추진하자 통일둥이 2023.06.13 1758
475 공식적이고 공개적인 정보 접근 허용이 주는 유익을 누리자. 3 풀한포기 2019.08.05 1783
474 공중부양 고양이 밍밍ssong1 2019.06.07 1682
473 과학기술 혁신이 답안이다 통일둥이 2021.01.10 1510
472 괜찮은 블로그 공유해요~^^♡ 미소천사 2019.06.09 1668
471 교우들에게 드리는 호소문 1 무비 2018.07.01 2013
470 교인전용개시판 권한없음에 질문합니다. 3 포토맨 2022.08.09 1671
469 교회내 폭행 등 사건에 대한 전말 6 머루 2018.07.04 2488
468 교회이전 => 터전이전 으로 하면 좋겠습니다. 1 풀한포기 2019.09.08 1596
467 군사대화 재개, 중·미의 최후 안전판 통일둥이 2020.08.09 1536
466 굿바이 명동 헬로우 광화문 사진전시 "향린의 기억들" 백찬양 2021.05.16 1601
465 권고사임안 의결에 대한 당회에 요청합니다. 6 무비 2018.06.29 9307
464 권사임직자들에게 보내는 편지 조은화 2018.11.09 1849
463 권연대 제24기 청년인턴 모집(12/7마감) file 인권연대! 2022.11.18 1516
462 그 전 댓글을 보는 방법 1 file 체게바라2 2018.07.02 1968
461 기고문: 주치의제도가 시급한 이유 1 che_guevara 2019.12.18 1718
460 기독교 시국행동 시국기도회 file 여명 2023.11.16 186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9 Next
/ 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