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고 도기순 장로 약력

by 김창희 posted Dec 27, 2018 Views 1814 Replies 0

(2018년 12월 25일 고 도기순 장로 추모예배에서 소개된 약력입니다.)

 

 

고 도기순 장로 약력

 

1920년 음력 121일 독립운동가 도인권 목사님과 최원효 사모님 사이에서 44녀 중 둘째 딸로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나셨습니다.

 

1921년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외국인 선교사로부터 유아세례를 받으셨습니다.

 

그 뒤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으로서 독립운동을 하시거나 만리타국에서 망명 생활하는 동포들을 위해 목회 활동을 하시는 아버지를 따라 중국과 만주 등지를 전전하며 민족의 고난에 함께 하셨습니다.

 

그러던 중 1940년 봄 만주 간도성 연길현의 용정시에서 명신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셨고,

 

다시 1942년 봄에는 같은 연길현의 연길시에서 연길여자사범학교를 졸업하셔서 교직 생활을 시작하셨습니다.

 

1942년 그 해 봄에 연길시의 명륜국민학교 교사로 임용되어 1945년 해방 때까지 그곳에서 초임 교사로 어린이들을 가르치셨고,

 

그 기간 중인 1944118, 세 살 위인 반려 최봉삼 장로님을 만나 결혼하셨습니다.

 

해방 후에는 고국으로 돌아와 1947년 황해도 옹진군 옹진읍의 옹진국민학교 교사로 임용되어 1949년까지 그 학교에서 신생 조국의 건설에 힘을 보태셨습니다.

 

19535월 서울 남산 중턱에 향린교회가 설립된 직후 바로 그 달, 교회의 갱신과 민족의 구원이라는 향린의 대의에 공감하신 부군 최봉삼 장로님께서 먼저 향린의 대열에 동참하셨고,

 

그 직후에 도기순 장로님도 향린으로 오셔서 함께 신앙생활을 하셨습니다.

 

1955년부터는 아예 향린의 창립자들과 마찬가지로 남산의 향린교회 터전에 들어와 수도원 생활에 가까운 향린의 초기 공동체 생활에 동참하셨습니다.

 

그때부터 최봉삼도기순 두 분 장로님 부부는 교회의 크고 작은 일을 모두 직접 챙기는 역할을 하셨습니다. 주일학교 교사, 반주, 부인회 운영 등에도 헌신적으로 힘쓰셨습니다.

 

1960년부터 1966년까지는 여전도사의 역할을 하셨습니다.

 

1977417일 공동의회에서 원금순 장로님과 함께 향린교회 최초의 두 여장로로 피택되셔서 두 분은 그해 118일 역시 함께 장로로 안수 받고 임직하셨습니다.

 

도 장로님은 향린공동체가 삼일절 또는 광복절 행사를 할 때마다 선친 도인권 목사님께서 독립운동 하면서 간직해 오신 태극기를 내걸고 그 힘들지만 의미 깊었던 삶을 회고하는 일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셨습니다. 향린 교우들도 그때마다 큰 감동을 받곤 했습니다.

 

19901230일 만 70세를 넘기시면서 시무장로에서 은퇴하면서 원로장로로 추대되셨습니다. 그렇지만 도기순 장로님은 우리의 영원한 장로님으로 남으셨습니다.

 

그 뒤에도 향린 교우들을 어린이들로부터 장년들에 이르기까지, 예배 출석부터 집안의 대소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을 챙기시면서 향린의 어머니역할에는 쉼이 없으셨습니다.

 

1994년에는 평생을 해로하자고 다짐하셨던 반려 최봉삼 장로님을 먼저 하늘나라로 보내 마음 한 켠에 아쉬움을 가지셨습니다.

그럴수록 하나님께서 주신 영육의 힘을 온전히 향린을 챙기고 섬기는 일에 모두 쏟으셨고, 201111월부터는 기동이 쉽지 않아 요양에 들어가셨습니다. 그렇지만 향린 교우들이 방문하면 언제나 웃음으로 맞으시면서 한 사람 한 사람 이름을 불러주셨습니다.

 

20181223일 밤, 백수를 눈앞에 두고 하나님께서 부르셔서 도기순 장로님은 이제 영원한 삶에 드셨습니다. 그렇지만 도 장로님은 언제까지나 우리들의 영원한 장로님으로, ‘향린의 어머니로 남으실 것입니다.

 

도 장로님은 이 땅에 두 따님과 한 아드님, 그 각각의 배우자들, 그리고 그 세 쌍의 아름다운 가정을 통해 모두 여섯 손자녀를 이 세상에 남기셨습니다.

 

우리 향린 교우들은 하나님 앞에 헌신적인 동시에 사람 세상에서 향기로웠던 도기순 장로님의 삶을 우리 공동체가 다하는 날까지 기억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8 [교회동창회 134] “십자가”는 부적(符籍도 아니고, 천국행 프리패스도 아니다! 다만 경계 넘어 우주적인 삶의 상징이다! 최성철 2021.07.17 1520
677 [교회동창회 135] “문자적인 부활”은 헛소리이며, 비성서적이고 이단이다! 최성철 2021.07.23 1520
676 [교회동창회 136] 이 시대는 하느님을 믿는 “신자”(信者)보다 예수에게 솔직한 “참된 인간”이 더 절실히 필요하다! 최성철 2021.07.30 1511
675 [교회동창회 137] “예수에게 솔직한 신앙과 삶”은 기독교의 핵심이다! 최성철 2021.08.06 1553
674 [교회동창회 138] “예수 이야기”가 문자화되기 전 “참 사람 예수 체험”이 먼저 있었다! 최성철 2021.08.13 1518
673 [교회동창회 139] 예수는 초자연적인 신(神)이 아니라, “고난받는 종”이라는 “참 사람”이었다! 최성철 2021.08.20 1766
672 [교회동창회 13] 예수는 유신론적 하느님을 거부한 무신론자였다! 최성철 2019.04.26 2244
671 [교회동창회 140] 성서는 참 사람 예수의 “인간성”을 증거하는데, 교회는 왜 딴소리하나? 최성철 2021.08.27 1595
670 [교회동창회 141] “하느님”은 인간의 언어: 예수는 종교가 만든 “망상의 하느님”을 철저히 반대했다! 최성철 2021.09.03 1543
669 [교회동창회 142] “험티 덤티”(Humpty Dumpty)가 된 “하느님”을 언제까지 믿겠습니까? 최성철 2021.09.10 1696
668 [교회동창회 143] “우주적인 예수”는 “부족적 사고방식의 종교”를 철저히 반대했는데, 어떻게 교회는 부족적인 집단이 되었나? 최성철 2021.09.17 1571
667 [교회동창회 144] “편견”을 철저히 반대한 예수가 어떻게 교회에서 “부족적 편견”의 우두머리가 되었나? 최성철 2021.09.24 1529
666 [교회동창회 145] 성서는 예수가 “편견과 차별”을 철저히 반대했다고 증거하는데 어떻게 교회는 성서를 왜곡하고 “편견의 온상지”가 되었나? 최성철 2021.10.01 1628
665 [교회동창회 146] 세칭 무신론자 목사의 “하느님 없는 결혼” 주례 최성철 2021.10.09 1543
664 [교회동창회 147] “유신론적 종교”를 철저히 파괴한 “무신론자 예수의 정신”만이 오늘 인간과 세상을 위한 구원의 길이다! 최성철 2021.10.15 1579
663 [교회동창회 148]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유신론적 하느님”에게 의존하는 “믿음” 보다 “하느님 없이” 자율적으로 “성숙한 인간성”을 살아내는 “삶”이 절실히 필요하다! 최성철 2021.10.22 1571
662 [교회동창회 149] “인간성”을 폄하하는 “유신론적 종교제도”에 철저히 반대하고 거부한 사람들이 “기독교”를 세웠다! 최성철 2021.10.30 1703
661 [교회동창회 14] 잃어버린 무신론자 예수를 되찾자! 2 최성철 2019.05.03 1746
660 [교회동창회 150] “종교와 표현의 자유”가 분열과 혼돈을 일으키며 “폭력과 저주”가 되고 있다! 최성철 2021.11.05 1571
659 [교회동창회 151] 예수의 십자가는 “타락의 대가와 내세적 영생”의 상징이 아니다! 다만 비기독교인과 무신론자도 살아내는 “온전한 인간성의 우주적 삶”의 표징이다! 최성철 2021.11.13 17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