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늘뜻펴기

'나' 넘어서기 | 김정원 | 2021-04-25

by 나비정원 posted Apr 25, 2021 Views 210 Replies 0
Extra Form
날짜 2021-04-25

’ 넘어서기

 

사도행전 4:5~12, 요한13:16~24, 요한복음서 10:11~18 

 

가끔 시를 읽으시는지요우리 교우분들도 좋아하는 시 혹은 시인이 있을 것입니다저 역시 두꺼운 철학 혹은 신학책들을 읽다 보면 눈이 모이는 것만 같고뇌에 쥐가 난 것 같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그럴 때 저는 시를 읽곤 하는데요시가 주는 심상으로 몸에 여백과 여유를 주고자 함입니다그런데 여유를 허락하지 않는 시들이 있습니다글밥이 촘촘하게 많은 책들은 보통 논리와 설명으로 우리를 설득하지만시는 다르지요또렷한 인과관계도 없고 분명한 목적도 없어보이지만마음에 묵직한 돌 하나를 쿵-하고 내려놓는 시가 있습니다이성복 시인이 제겐 그랬습니다특히나 그의 첫 번째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그날이라는 시는 저를 조금 많이 고통스럽게했고어떤 신학책보다 조금 더 신학적이었습니다.

 

그날

이성복 

그날 아버지는 일곱 시 기차를 타고 금촌으로 떠났고 
여동생은 아홉 시에 학교로 갔다 그날 어머니의 낡은 
다리는 퉁퉁 부어올랐고 나는 신문사로 가서 하루 종일 
노닥거렸다 전방은 무사했고 세상은 완벽했다 없는 것이 
없었다 그날 역전에는 대낮부터 창녀들이 서성거렸고 
몇 년 후에 창녀가 될 애들은 집일을 돕거나 어린 
동생을 돌보았다 그날 아버지는 미수금 회수 관계로 
사장과 다투었고 여동생은 애인과 함께 음악회에 갔다 
그날 퇴근길에 나는 부츠 신은 멋진 여자를 보았고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면 죽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날 태연한 나무들 위로 날아오르는 것은 다 새가 
아니었다 나는 보았다 잔디밭 잡초 뽑는 여인들이 자기 
삶까지 솎아내는 것을집 허무는 사내들이 자기 하늘까지 
무너뜨리는 것을 나는 보았다 새점 치는 노인과 변통의 
다정함을 그날 몇 건의 교통사고로 몇 사람이 
죽었고 그날 시내 술집과 여관은 여전히 붐볐지만 
아무도 그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안병무는 민중의 개념을 의도적으로 피했지만결국 세리와 창녀병자가난한 자 등으로 표상되는 천민대중을 가리킵니다우리는 자주 가난하고 빼앗긴 민중들과의 연대를 말하지만실상 가난과 빼앗긴 사람들의 얼굴을 마주한다는 것은 불편하고마음을 무겁게 합니다그런데 이성복의 시 ‘그날은 그 고통의 얼굴들을 그대로 노출시켜버립니다시인 자신에게 일어난 그날의 아픈 현실을 덤덤하고도 망설임 없게 써나가는 그의 표현방식이 야속하기까지 합니다.

좀 천천히 써나가도 될 것을어머니의 퉁퉁 부은 낡은 다리대낮부터 서성이는 성노동자들장차 성노동자가 될 어린이들잡초 뽑는 여인들사장과 다투는 아버지 등 민중들의 아픈 현실을 죽죽 써나갑니다.

 

그런데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성복은 우리를 한 번 더 불편하게 합니다마지막 구절이지요, “그날 시내 술집과 여관은 여전히 붐볐지만 아무도 그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다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우리의 삶이 아무리 비천해도 그 고통까지 마비시키지는 못한다”(황현산)고 한 문학비평가의 말을 참 무색하게 만드는 시입니다고통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이 바로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일 것입니다어머니의 낡은 다리가 퉁퉁 부어올랐는데 시인은 세상이 완벽하다고 말합니다잔디 뽑는 아낙들이 자신들의 삶까지도 솎아내고 있고집을 무너뜨리는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하늘까지도 무너지고 있는 때에누구도 신음소리를 듣지 못하고모두가 병들어도 아무도 아프지 않은 세상이라니... 생각만으로도 두렵고 삭막하여 공포감마저 주는 세상입니다.

 

만일 시인이 우리에게 까보이고 있는 이 아픔을 우리가 공감하고 있다면그리고 ‘나만은아무도 듣지 못하는 신음소리를 듣겠노라나는 먼저는 나의 아픔을 듣고그리고 너의 아픔도 듣겠노라라는 마음의 소리가 있다면그것으로부터 우리는 희망과 믿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요한복음에서에는 ‘선한 목자와 양이 등장합니다예수님은 이리가 오면 양들을 두고 달아나버리는 삯꾼과 자신을 대비시키며자신을 선한 목자라고 일컬어 말합니다선한 목자는 양들을 깊이 사랑하여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기까지 합니다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철저히 끝까지 양들과 함께한다는 의미입니다예수가 목숨을 버리기까지 하며 전한 사랑의 내용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습니다율법보다는 사랑이 먼저였기에예수는 안식일에 민중들과 함께 기적 사건 속에 있었습니다복음서에 등장하는 기적사건은 민중언어입니다민중들이 보고 경험한 바를 자신들의 언어로 표현한 것이며기적 이야기에는 저마다의 어려운 현실과 애환이 담겨 있습니다억눌림가난패배로 인해 얻은 생리적인 병으로 몸부림치는 구체적인 현장이 제시되어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그들은 종교 지배 체제의 ‘죄인’, 즉 정죄당함으로 인해 한계 상황을 견뎌내고 있었던 사람들이었습니다예수는 그들과 함께 기적 사건 속에 있었으며그로 인해 늘 그의 생명은 위태로웠고결국 죽기까지 하였습니다.

 

예수는 우리에게 진실한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요한은 이런 의미에서 자기 옆 이웃들의 궁핍합을 보고도 마음 문을 닫고 도와주지 않으면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속에 깃들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그는 사랑의 실천을 통해 하나님과 우리가 합일에 이룰 수 있다는 말을 시처럼 표현하고 있습니다. “나는 내 양들을 알고내 양들은 나를 안다”. 목자의 음성을 양들이 알아듣는다는 말 속에서 두 관계 간의 깊은 신뢰를 느낄 수 있습니다요한 1서에서도 비슷한 표현이 나오지요,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고그리스도께서도 우리 안에 있습니다”.

 

나는 내 양들을 알고내 양들은 나를 안다” 그리고,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고그리스도가 우리 안에 있다라는 표현은 이성복의 시 “아무도 그 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고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와 철저하게 대비를 이루는 표현입니다.

 

우리를 위하여 자기 목숨까지 버리셨던 예수는 그날의 신음을 들었고병든 존재들과 함께 먹고 마셨습니다예수가 만약 자신이 그리스도임을 입증하려고 그들에게 기적을 ‘베풀었다면그것을 우리는 진실한 사랑이었다고선한 목자의 삶이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예수는 민중들이 그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함께 싸우고 또 격려하였습니다죄인귀신들린 사람 등으로 매도당하여 아무런 저항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온전한 정신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돕는 자로 살았습니다이로써예수와 민중은 해방의 사건 안에서 하나가 됩니다민중신학의 가장 핵심적인 이 명제가 특별히 서구 신학자들에게는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예수가 민중과 동일시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제 경험이 있는데요제가 영국에 있었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경험이었지 않나 싶습니다제가 다녔던 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공부하는 이들은 모두가 백인 남성이었습니다심지어 제 지도교수도 그야말로 서구 백인 학자였구요그때의 구성원 중 한 명에게 들었던 놀라운 말은 ‘나는 한국사람을 처음 봐였습니다그 발언은 사실 교묘하게 인종차별적이었습니다3세계에서 온 여성이 그 속에서 가만 앉아있는 것 자체가 존재 투쟁이었고실상 그들은 제 담론에 어떤 관심도 두지 않았습니다그러던 어느 날교수가 저에게 갑자기 ‘민중신학에 대해 말해보라고 질문을 던졌습니다없는 사람처럼 늘 앉아있던 제게 온 첫 질문이니 얼마나 긴장이 되었겠습니까그리고 한국의 민중신학을 얼마나 잘 설명하고 싶었을지 짐작이 되시지요그런데과도한 긴장과 짧은 영어 실력이 문제였습니다준비되지 않았던 저는 ‘예수가 민중이고민중이 예수다민중이 곧 메시아다라고 띄엄띄엄 설명하였는데그때 교수와 학생들의 얼굴 표정은 마치 ‘쟤가 지금 뭔 소리를 하는 거지뭔 신학이 저리 엉성해?’라는 표정이었습니다교수가 다시 물었습니다. ‘민중이 예수와 동일한 역할곧 메시아적 역할을 맡을 수 있느냐?’ 저는 ‘예스라고 작은 목소리로 대답하고는다음에 자세하게 다시 설명해주겠다,, 라고 말한 후 입을 다물었습니다.

 

당시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은 바로 이것입니다. “민중신학은 서구 신학자들이 말하는 교리적 신 이해가 아니라철저하게 사건 안에서 신을 이해하는 것입니다억압당하는 사람들 편에 서서사건을 일으키는 신을 고백하는 것입니다어떤 개별적 차원 또는 존재론적관념적 차원에서 예수와 민중의 동일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사건의 지평에서 동일시를 말하는 것입니다.(안병무/최형묵)”

 

이때 우리는 민중의 자기초월의 의미를 빼놓고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자기초월은 이렇게 풀이될 수 있을 것입니다자기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죽어가는 타자들의 삶을 갈망하는 것한계 상황에도 해방되려는 의지를 포기하지 않는 것고통에서 풀려나고자 하는 이니셔티브사회구조에 매몰되지 않으려는 저항이것이 바로 안병무가 본 민중의 자기-초월이고 이러한 민중사건 안에서 예수는 재현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 사도행전 본문에서도 민중의 자기초월의 현장을 발견하게 됩니다삯꾼과도 같은 유대의 지도자들과 장로들과 율법학자들이 기적을 일으킨 제자들에게 심문합니다. “당신들은 대체 무슨 권세와 누구의 이름으로 이런 일을 한 것이요이때 베드로가 말합니다. “이 사람이 성한 몸으로 여러분 앞에 서게 된 것은 십자가에서 죽었다가 부활하신 나사렛 예수의 힘으로 된 것입니다예수는 버림받았던 돌이었지만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신 분입니다

 

이 본문이 던져주는 정황이 바로예수가 결국 죽임을 당하였지만바로 그 예수가 억압당하던 민중과 함께 부활하고 있는자기-초월의 현장인 것입니다부활한 예수가 절망했던 제자들 속에서고통당하고 절망한 이들의 가슴 속에서 존재했던 것입니다자신의 고통에 매몰되어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닌다시 생명을 말하며버림받았던 돌을 머릿돌로 다시 세우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것이 민중예수의 부활이며자기초월의 현장일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디에 서 있습니까먼저 우리는 ‘의 자리를 살펴봄으로써, ‘를 넘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오늘 저는 민중신학을 도구 삼아 하늘뜻펴기를 펼쳐나가고 있습니다설교자는 민중을 이야기하면서민중이 타자화되거나 대상화되지 않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이곳 향린에서마저 민중신학이 진보신학의 상품으로서 전락되지 않기 위한 주의일 것입니다그러기 위해 저의 자리를 먼저 살펴봅니다분명 제 봉급으로 봤을 때 저는 민중이고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한 여성 목사의 삶이라 할 때 저는 민중이지만, ‘과연 목사가 민중일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은 또 다른 환기를 불러옵니다그리고 비교적 경제적으로 안정됐거나혹은 동시대 사람들과 비교하여 많이 배운 사람들이 적지 않게 모인 우리 교회에서어떻게 민중을 이야기를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은 아마도 계속될 것입니다그러나 우리의 다양한 삶의 자리에도 불구하고우리가 신앙인으로서 저마다의 고통의 무게를 져야 한다는 것에서는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앞서 말했던 ‘를 넘어가는 경험입니다지배적 담론에 의해 침묵할 수밖에 없는 약자소수자가난한 사람들은 체념하거나 자포자기하지 않고예수와 연대했던 기적 사건 속 민중들처럼 다시 일어나 희망을 말해야만 하는 무게입니다. ‘당신의 믿음이 당신을 구원하였습니다라는 소리를 들어야만 하는 것입니다이는 엄청난 존재투쟁이 될 것이며결국 굳건한 믿음 안에서 이뤄져야 하기에 그야말로 고통일 것입니다그리고 정치경제문화적 자산을 가지고 있는 교우들 역시도 ‘자기를 넘어가야 할 것입니다그들이 지닌 무게는 말할 수 없는 이들이 말할 수 있도록 도와야만 하는 책임의 무게입니다’ 혹은 ‘그것으로 민중을 범주화시켜 스스로와 분리하는 인식론에서 벗어나야 합니다그들과는 분리된 ‘로 파악하는 자기-이해야말로 반-공동체적 사고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여된 책임 역시 자신의 소유를 포기해야만 하는 고통이 따를 것입니다.

 

우리 신앙인들은 결국우리가 처한 상황 속에서 자기초월을 이루어 냄으로써 ‘초월하는 민중이 되어가야 할 것입니다저마다가 지닌 고통의 무게를 견뎌낼 때비로소 푸른 초장이 우리 앞에 펼쳐질 것이며예수가 우리 안에우리가 예수 안에 머물게 될 것입니다.

 

서두에 밝혔던 시, ‘그날의 마지막 구절입니다

 

 

아무도 그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이성복의 시를 다시 써봅니다.

 

 

 

모두가 그날의 신음 소리를 기억했다

한 명이 병들자,

모두가 함께 아파하였다.

 

 

 

 

-파송사 -

 

나는 아프지만결코 쓰러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신음하지만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자기를 넘어, ‘우리로’, ‘우리를’ 넘어 사랑으로 나아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수가 우리 안에우리가 예수 안에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2021-05-16 진리를 향한 거룩한 행진 | 김희헌 | 2021-05-16
2021-05-09 세상을 뚫고 나오는 믿음 | 김희헌 | 2021-05-09
2021-05-02 내 안에 머물러 있어라 | 김희헌 | 2021-05-02
2021-04-25 '나' 넘어서기 | 김정원 | 2021-04-25
2021-04-18 교회의 문법 | 김희헌 | 2021-04-18
2021-04-11 생명력 있는 사귐 | 임보라 | 2021-04-11
2021-04-04 오늘의 부활 | 김희헌 | 2021-04-04
2021-03-28 아름다운 일 l 김지목 ㅣ 2021-03-28
2021-03-21 땅에 떨어진 밀알 | 김희헌 | 2021-03-21
2021-03-14 그리스도 안에서 지어지는 삶 | 김희헌 | 2021-03-14
2021-03-07 다시 세울 말씀 | 김희헌 | 2021-03-07
2021-02-28 다시, 봄 | 김정원 | 2021-02-28 file
2021-02-21 역사의 무지개 | 김희헌 | 2021-02-21
2021-02-14 참된 지식은 사랑이다 | 김희헌 | 2021-02-14
2021-02-07 위기 속의 세 지침 | 김희헌 | 2021-02-07
2021-01-31 사랑은 덕을 세웁니다 ㅣ 김지목 ㅣ 2021-01-24
2021-01-24 남겨진 시간 | 김희헌 | 2021-01-24
2021-01-17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 박경미 | 2021-01-17
2021-01-10 혼돈에서 튀어나온 빛 | 김희헌 | 2020-01-10
2021-01-03 새해의 축복 | 김희헌 | 2021-01-03
2020-12-27 경계 밖 사람들에게 전하는 소식 ㅣ 김정원 ㅣ 2020년 12월 27일 file
2020-12-25 평화의 소식을 전하는 사람 | 김희헌 | 2020-12-25
2020-12-20 삶이 드러낸 신비 | 김희헌 | 2020-12-20
2020-12-13 인권주일 평신도 강단교류 | 문경란, 이영일 | 2020-12-13 file
2020-12-06 우리가 기다리는 것 | 김희헌 | 2020-12-06
2020-11-29 생태적 전환 | 김희헌 | 2020-11-29
2020-11-22 하나님을 '아는' 교회 | 김지목 | 2020-11-22
2020-11-15 생명의 춤 | 조은화 | 2020-11-15
2020-11-08 여성과 노동 | 여수진, 김희헌 | 2020-11-08
2020-10-25 전환의 시대 | 김희헌 | 2020-10-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위로